반응형
전기기사 준비생이라면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필수 정보
전기기사는 산업현장뿐 아니라 공공기관, 설계·감리, 건설 분야까지 진출이 가능한 국가 기술자격증 중 하나로, 전기 분야의 대표 자격증입니다. 특히 2025년부터는 시험 일정이 조정되고, 출제 기준과 실기 평가의 실무화가 강화되면서 철저한 사전 준비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전기기사 시험 일정을 시작으로 과목별 출제경향, 기출문제 분석, 합격전략까지 상세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2025년 전기기사 시험 일정 (연 3회)
전기기사 시험은 2025년에도 총 3회차에 걸쳐 실시됩니다. 필기와 실기는 각 회차별로 따로 진행되며, 일정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회차 | 필기 원서접수 | 필기 시험일 | 필기 합격자 발표 |
실기 원서접수 | 실기 시험일 | 실기 합격자 발표 |
1회 | 1.13(월) ~ 1.16(목) | 2.7(금) ~ 3.4(화) | 3.12(수) | 3.24(월) ~ 3.27(목) | 4.19(토) ~ 5.9(금) | 6.5(목) / 6.13(금) |
2회 | 4.14(월) ~ 4.17(목) | 5.10(토) ~ 5.30(금) | 6.11(수) | 6.23(월) ~ 6.26(목) | 7.19(토) ~ 8.6(수) | 9.5(금) / 9.12(금) |
3회 | 7.21(월) ~ 7.24(목) | 8.9(토) ~ 9.1(월) | 9.10(수) | 9.22(월) ~ 9.25(목) | 11.1(토) ~ 11.21(금) | 12.5(목) / 12.24(수) |
- 접수 시간: 각 접수 첫날 09:00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 시험방식: CBT(컴퓨터 기반 시험)로 필기 시험은 시험 직후 바로 점수 확인 가능
✅ 전기기사 시험 과목 및 기준
구분 | 필기 | 실기 |
과목 | 전기자기학, 전력공학, 전기기기,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전기설비기준 | 전기설비설계 및 관리 |
유형 | 객관식 4지선다형 (과목당 20문항) | 필답형 (2시간 30분) |
합격 | 과목별 40점 이상, 전체 평균 60점 이상 | 60점 이상 |
응시료 | 19,400원 | 22,600원 |
- 필기 합격자만 실기 응시 가능
- CBT 방식 도입 이후, 응시자 수 증가 추세
✅ 최근 합격률 및 난이도 분석
- 2024년 필기 합격률: 54.0% (25,000명 중 13,500명)
- 2024년 실기 합격률: 58.1% (14,800명 중 8,600명)
- 최근 5년 평균: 필기 23~25%, 실기 25~30% → 2024년은 예외적 상승
최근 전기설비규정(KEC) 적용과 실무형 문제 증가로 단순 암기보다 개념 이해 + 응용력이 중요해짐
✅ 전기기사 기출문제 출제경향 분석
🔹 전기기기
- 변압기 병렬운전 조건(위상, 임피던스 등), 단권변압기, 유도전동기 속도제어, 반도체 소자 (IGBT, SCR, GTO 등)
- 변압기 병렬 조건은 매회 출제되는 핵심
🔹 전력공학
- 송전선 안정도, 전력손실 방지법, 보호 계전기 동작, 차단기 정격 용량 계산, 접지 방식(비접지/직접접지 비교)
- 역률 개선과 접지방식 비교 문제는 반복 출제
🔹 전기설비 기술기준
- 접지공사(저항, 굵기), 가공전선로 이격거리, 매설 깊이, 케이블 종류
- 최신 KEC 반영 문제 증가, 법규 파트 강화
🔹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 교류·직류 회로해석, 전달함수, 피드백 제어, 전력 계산, 주파수 해석
- 복소수 계산, 제어계 안정도 판단은 기본 문제로 자주 출제됨
🔹 전기자기학
- 전기력선, 자계 세기, 도체 표면 전하 분포, 플럭스 밀도
- 기본 개념 중심, 응용은 적고 단답형 위주
✅ 실기 출제경향: 전기설비설계 및 관리
- 실기 시험은 현장 실무 능력 검증에 중점
- 주제: 도면 해독, 배선 설계, 접지 설계, 공사비 산정, 시퀀스 제어
- 최신 KEC 반영 + 공사 규격 암기 병행 필수
- 실제 설계도면을 보고 문제 해결 능력 요구
✅ 기출 출제 빈도 높은 핵심 키워드
- 변압기 병렬 조건
- 송전선로 안정도
- 보호 계전기·차단기
- 접지공사 종류
- 가공전선로 높이
- 도면 해석 및 시퀀스 제어
- KEC 반영된 규정 문제
✅ 합격 전략 요약
전략 | 설명 |
기출 반복학습 | 최근 10년 기출문제 반복 풀이 (출제 패턴 익히기) |
핵심 이론 집중 | 변압기, 차단기, 접지, 송전선로 등 반복 개념 위주로 정리 |
실기 실무역량 강화 | 도면 해석, 배선, 공사비 계산 등 실무에 기반한 학습 필수 |
최신 법규 반영 내용 숙지 | 2025년부터 본격 확대되는 KEC 기준, 전기설비기준 암기 및 이해 병행 |
실전 모의고사 | 필기·실기 모두 시간 배분 연습 필수, CBT는 실전 감각 유지가 중요 |
✅ 결론
전기기사는 단순히 자격증 하나로 끝나는 것이 아닌, 전기공사·감리·설계·안전관리 분야 전반에서 활동할 수 있는 핵심 자격입니다.
2025년에는 출제 경향이 이론 + 실무 통합 평가로 더욱 강화되고 있으므로, 기출문제 분석과 실전 훈련, 최신 기준 숙지가 합격의 필수 조건입니다.
정확한 일정 파악부터 공부 전략 수립까지 미리 준비하면 3회 중 원하는 회차에서 합격 가능성은 충분히 확보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첫 번째 기출문제부터 풀어보세요. 실전이 곧 시작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머니스토리의 사회돌아가는 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조무사 자격증, 나도 딸 수 있을까? 준비부터 합격까지 완벽 가이드 (2025년 최신) (3) | 2025.04.24 |
---|---|
구로구에서 온누리상품권으로 알뜰 쇼핑하는 법 (0) | 2025.04.24 |
손해평가사 1차 시험, 과목별 공부 전략 & 과락 방지 팁 완벽 정리 (3) | 2025.04.23 |
소방안전관리론 시험, 이렇게 공부하면 반드시 합격합니다 (0) | 2025.04.23 |
2025년 영유아 보육료 지원 확대, 최고 54만원 받아가세요 (2) | 2025.04.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