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머니스토리의 사회돌아가는 얘기

공인노무사 합격률 분석 – 최신 통계 및 합격 전략

by 명동거리 2025. 3. 23.
반응형

공인노무사는 노동법과 인사·노무관리 전문가로서 기업과 근로자 간의 법적 문제를 해결하고 노동환경을 개선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공인노무사가 되기 위해서는 높은 난이도의 국가시험을 통과해야 하며, 시험의 경쟁률과 합격률이 매우 치열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공인노무사 시험 합격률을 최신 통계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효과적인 합격 전략을 제시하겠습니다.


1. 공인노무사 시험 개요

공인노무사 시험은 총 3단계로 구성됩니다.

  • 1차 시험: 객관식 시험으로, 법학 및 경제학 관련 기초 지식을 평가
  • 2차 시험: 논문형 시험으로, 노동법과 인사관리 관련 심층 지식 평가
  • 3차 시험: 면접 시험으로, 실무 수행 능력 및 직업 윤리 평가

각 시험 단계별로 요구되는 역량이 다르므로, 이에 맞춘 학습 전략이 필요합니다.


2. 공인노무사 1차 시험 합격률 분석

1차 시험은 과목별 40점 이상, 전체 평균 60점 이상을 획득하면 합격할 수 있는 절대평가 방식입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응시자가 급증하면서 경쟁이 치열해졌고, 실제 합격률도 변동이 많았습니다.

최근 10년간 1차 시험 합격률 변화

연도 응시자 수 합격자 수 합격률

2015 3,394 1,688 49.7%
2018 4,044 2,420 59.8%
2020 6,203 3,439 55.4%
2022 7,002 4,221 60.3%
2023 8,611 3,019 35.0%
2024 9,602 2,150 22.4%

분석 결과

  • 2020년까지는 절반 이상의 응시자가 1차 시험을 통과했으나, 최근 응시자 수 증가로 합격률이 급감
  • 2023년과 2024년에는 시험의 난이도가 상승하면서 합격률이 30% 이하로 떨어짐
  • 지원자 증가 + 난이도 상승 → 향후 1차 시험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가능성 높음

3. 공인노무사 2차 시험 합격률 분석

2차 시험은 논문형 시험으로 진행되며, 과목별 40점 이상, 평균 60점 이상을 획득해야 합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최소합격인원(약 330명)을 기준으로 커트라인이 결정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상대평가에 가깝습니다.

최근 10년간 2차 시험 합격률 변화

연도 응시자 수 합격자 수 합격률

2015 2,237 250 11.2%
2018 3,018 300 9.9%
2020 3,871 343 8.9%
2022 5,128 549 10.7%
2023 4,724 395 8.4%
2024 3,682 330 9.0%

분석 결과

  • 2차 시험 합격률은 8~11%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절대적으로 합격이 어려운 시험
  • 2022년 합격자 수가 일시적으로 증가했으나, 2023년부터 다시 감소
  • 경쟁률이 높아지고 있어 논문형 답안 작성 실력이 핵심 합격 요소

4. 공인노무사 3차 시험 합격률 분석

3차 시험은 면접으로 진행되며, 공인노무사로서의 자질과 실무 능력을 평가합니다.

연도 응시자 수 합격자 수 합격률

2015 254 254 100%
2018 300 300 100%
2020 343 343 100%
2022 549 545 99.3%
2023 395 392 99.2%

분석 결과

  • 3차 시험의 합격률은 99% 이상으로, 2차 시험을 통과하면 사실상 합격 확정
  • 단, 면접에서도 노동법 및 사회보험 관련 최신 이슈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므로 대비해야 함

5. 공인노무사 시험 합격 전략

(1) 1차 시험 대비법

  • 기출문제 반복 학습: 객관식 문제 유형을 철저히 분석
  • 법 과목은 조문과 판례 암기: 노동법, 사회보험법의 조문과 판례가 중요한 출제 요소
  • 경제학·경영학은 개념 정리 중심: 문제 풀이보다는 이론 이해가 중요

(2) 2차 시험 대비법

  • 논술형 답안 연습 필수: 실제 시험과 동일한 방식으로 답안 작성 훈련
  • 법률 조문 + 판례 적용 능력 강화: 단순 암기보다는 사례 적용 연습
  • 스터디 그룹 활용: 답안을 공유하며 논리적 전개 방식 피드백 받기

(3) 3차 시험 대비법

  • 최신 노동법 개정 내용 숙지: 실무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은 법률 변화 이해
  • 실제 공인노무사 역할 연구: 면접에서 실무적 질문이 출제될 가능성 높음
  • 모의 면접 연습: 면접 예상 질문을 정리하고 반복 연습

6. 결론

공인노무사 시험은 1차 시험의 합격률이 낮아지고 있으며, 2차 시험은 10% 미만의 낮은 합격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1차 시험은 객관식 문제 풀이 능력, 2차 시험은 논술형 답안 작성 능력이 핵심입니다. 3차 시험의 합격률은 99% 이상이므로, 2차 시험이 사실상의 당락을 결정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공인노무사를 준비하는 수험생이라면, 자신의 학습 스타일에 맞는 전략을 세워 장기적으로 공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철저한 준비를 통해 합격의 문을 여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